토픽 주식·투자

[HMM] 2022.1Q 실적 및 2022.2Q 실적 전망

한국은행 · 아**
작성일2022.05.17. 조회수1,108 댓글27

안녕, 형누나들!

지난주 금요일쯤 실적이 나왔는데 그동안 노느라 정신없어서 이제 실적 정리하는 글을 쓰네.

모두가 알다시피 이번 실적은 정말 어마어마했지 ㅋㅋㅋ
지난 3.27일 예상치와 비교해보면:

매출액: 4.919조 (실제) vs 4.776조 (예상) (+0.142조)
영업이익: 3.149조 (실제) vs 2.876조 (예상) (+0.273조)
당기순이익: 3.132조 (실제) vs 2.876조 (예상) (+0.256조)
매출원가 및 판관비등: 1.770조 (실제) vs 1.9조 (예상) (-0.13조)

일단 유가 상승에 따른 원가를 높게 잡았었는데 실제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던 것 같고, IR자료 상으로도 유가는 원가의 10~15% 정도 차지하는 걸로 나와있어. 이로 미루어보아 유가에 대한 우려는 과도했던 것 같아.

그리고 매출액은 시장 운임이 오른 덕분도 있겠지만, 점점 실제 물량에서도 운임을 후하게 받도록 영업을 잘 하는 것 같아. 이점은 고무적인 듯. 그리고 1분기라 아직 상하이 봉쇄 영향이 나타나지 않아 물동량은 살짝 증가하는 수준에서 그쳐서, 1분기 매출은 온전히 가격이 이끌었다고 볼 수 있지.

일전에 글 및 댓글로 머스크와 하파크로이트와의 실적비를 비교했었는데 실제 나온 실적과 1분기 평균환율 등으로 원화로 실적을 환산해서 업체간 실적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아:
머스크 - 매출액 23.3조 (4.73HMM), 영업이익(EBIT) 8.8조 (2.78HMM)
하파크로이트 - 매출액 10.8조 (2.19HMM), 영업이익(EBIT) 5.8조 (1.83HMM)

2021년 4분기 비율에 비해 뭔가 숫자가 많이 줄어들었지? 머스크와 하파크로이트가 큰 회사라 선박 운용을 위한 지원조직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도 흠 영업력과 원가구조가 둘에 비해서도 괜찮아보여. 하지만 다 메인 사업은 컨테이너선이기 때문에 원가구조나 영업력이 크게 차별화되기는 어려울 것이고, 따라서 당분간은 실적비로 예상실적을 맞추는 방법은 유효할 것 같아. 실제로 이번 분기도 기존 예상에 반영하지는 않았지만, HMM보다 16시간쯤 전에 먼저 뜬 하파크로이트 실적으로 추정했던 게 꽤 정확했지.

앞으로의 리스크 및 주의잠:
- 미국 경기 침체: 스태그플레이션과 이걸 잡기 위한 금리 상승이 주요 원인일텐데, 스태그플레이션에는 해운사도 한몫 했다고 볼 수 있지. 이건 어찌보면 순환참조 성격도 있어. 운임이 계속 높은 상태로 물가 상승에 기여하면 해운사 입장에서는 운송량이 줄어들 수 있고, 운임이 떨어지면 스태그플레이션은 풀리고 침체가 조금 완화될 수 있지만 실적을 커버할 만큼 운송량이 늘어날지는 과연...?
- CB 전환: 이건 늘 나오던 이야기. 나는 여전히 전환할 유인이 크지 않다고 봄.
- 매각: 나는 다음 분기 실적은 영익 3.2조 정도를 생각하는데, 그럼 8월 15일쯤 순자산은 16.6조가 됨. 총자산은 대략 24조까지 갈 것이고. 시간이 지날수록 흠은 점점 사기에는 너무 우량한(?) 회사가 되어가. 그래서 이미 매각 타이밍을 놓친 것 아닐까 생각함.
- 2023년 선복 증가: 2022년에 획기적인 운임 하락이 없다면 2023년에는 크게 떨어질 수 있지. 그래도 2021년 수준의 실적은 나오지 않을까 싶어.
- 운임 하락: 머스크와 하파크로이트는 상후하박 실적을 예상하고 있어. 근데 개인적으로는 운임이 지속적으로 떨어져도 장기운임이 있어서 오히려 하반기 실적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.
- 얼라이언스 재편: 머스크는 해운산업을 넘어 물류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물류회사로 변신하려 하고 있어. 이런 움직임이 확산된다면 기존의 고만고만한 회사가 모인 각 얼라이언스에도 이합집산이 발생할 수 있지.

이제 PBR 1 지점은 27,450이 되었어. 이 이하로는 (CB 전환이 없다면) 떨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의미. 작년 5월 이후 거래 및 청산을 모두 고려한 누적 공매도 평단은 29,590원 정도 되는데 흠의 2분기 예상실적을 고려한 PBR 1 지점은 32,550(대략 영익 2.5조) - 33,250 (영익 3.2조) 정도 되고 그럼 슬슬 공매도도 평균적으로 손실구간에 진입하는 것이지. 작년에는 그래도 순자산과 시총이 격차가 좀 있었다면, 이제는 순자산에 기초한 찐바닥이라 오래전에 친 애들 아니면 이제 각오는 좀 해야 할거야.

이제 당초 생각했던 매도시점을 넘겼어. 연말까지 내가 생각한 목표 주가까지 오려나? 일단 2023년 이후 (추가 지분전환이 없다는 전제 하에) 적정 가치선이라고 생각하는 6만원을 넘어설지 지켜보려고.

그럼 성투하자고 🙏🙏🙏🙏

#원피스를찾아서

[HMM] 2022.1Q 실적 및 2022.2Q 실적 전망 HMM 실적 추정(5.13.)

[HMM] 2022.1Q 실적 및 2022.2Q 실적 전망 머스크, 하파크로이트 대 HMM 실적 비교(5.13.)

[HMM] 2022.1Q 실적 및 2022.2Q 실적 전망 HMM 선복 및 운송량(5.13.)

[HMM] 2022.1Q 실적 및 2022.2Q 실적 전망 HMM 시가총액 및 순자본(5.13.)

[HMM] 2022.1Q 실적 및 2022.2Q 실적 전망 HMM 주가 - 공매도 누적평단(5.17.)

tag

HMM

댓글 27

한국은행 · i*********

이것이 한국은행 클라스 오오...

HMM · l*********

기만자 ㅋ

삼성전자 · l*********

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
매도 시점이 항상 고민이네요.. Scfi 하락에 맞출지, 매각을 기다릴지...

한국은행 · 아** 작성자

매각이나 운임과는 상관없이 4만까지는 어느 지점이든 사도 괜찮다고 보고, 4만을 넘어서기 시작하면 슬슬 매도각을 봐야 한다고 봄...6만 넘어서면 어느 지점이든 팔아도 좋고

개인적으로는 이 추세라면 scfi는 계속 횡보할 거 같으니 하락세는 내년 초쯤에나 나오지 않을까 싶음

작성일2022.05.18.

LX판토스 · !****

잘 지내지? 아일락형? 나 판토스..
2만 중후반대 쯤 다시 좀 잡아서 가져가 보고 있어..

요새도 선복 잡기는 아주아주 힘든 상황이 지속 중이야.

한국은행 · 아** 작성자

내 생각에 이런 호황장은 올해 내내 갈거 같어 ㅋㅋㅋ 그래서 일단은 계속 홀딩하기로 했어

형도 사팔사팔 했지마는 오래 가지고 가네 ㅋㅋㅋ

HMM · l*********

힘내 판토스 형
상해 락다운 해제랑 미항운노조 이슈만 넘어가면 선사도 화주도 스테이블하게 가지 않을까 싶네 그전까진 계속 지금같긴 하겠지만...

작성일2022.05.18.

새회사 · H*****

판토스형과 아일락형 보니 반갑네 ㅋ
나도 판토스 형님과 비슷하게 사고팔고 반복하면서 꾸준히 내 주식 포션의 메인을 차지하고 있어 !
아일락형의 매도가가 6만원으로 떨어진건 아쉽지만 그래도 납득가는 수준이고 무엇보다 이제 커질대로 커져버려 매각 이슈를 기다리는것도 요원해져버린게 아닌가 싶어서 ㅠ
그래도 성투하자고 모두!

작성자가 삭제한 댓글입니다.

HMM · l*********

순자산 대 시총비라고 써있네요

작성일2022.05.18.

HMM · l*********

나중에 함 만나보고 싶네 아일락 형^^

HMM · 엄****

2분기 영업이익은 3.2조는 어림없어요..

한국은행 · 아** 작성자

에구 아직 분기 절반이나 남았는데 어려우려나요 ㅠㅠ

NH농협 · e*****

형 뭐하나 물어보자
신조 12척 인수한다던데 진짜야 가짜야?
워낙 해운회사들이 뻥을 많이 쳐서 신뢰가 안 가네
도크에 발주는 들어간건지...

HMM · 엄****

현재 발주 완료 및 발주 예정건까지 합치면 훨씬 많아요. 24년부터는 타선사 인도 예정건들도 많아서 카오스의 해가 될 겁니다..

작성일2022.05.19.

기업은행 · z****

혹시 정모라도 하시면 불러주십시오ㅜㅜ

메가존 · 닥*****

전망 업뎃 좀

인기 채용

더보기

주식·투자 추천 글

토픽 베스트

블라마켓
패션·뷰티
I'm솔로
썸·연애
자녀교육·입시
나들이 명소
회사생활
헬스·다이어트
TV·연예
자녀교육·입시